chapter 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와 Gradle
1.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1.1.1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기능
1.1.2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장점
1.2 Gradle
1.3 안드로이드를 위한 Gradle의 특징
chapter 2 첫 Gradle 프로젝트 생성하기
2.1 Hello World 프로젝트 생성
2.2 프로젝트 build.gradle
2.3 모듈 build.gradle
chapter 3 Gradle 태스크와 생명주기
3.1 프로젝트 빌드하고 실행하기
3.2 Gradle 태스크 개념잡기
3.2.1 태스크에서 로그 출력하기
3.2.2 태스크에 그룹 지정하기
3.2.3 태스크에 설명 지정하기
3.2.4 태스크에 의존성 지정하기
3.3 Gralde의 생명주기
chapter 4 외부 라이브러리 추가
4.1 가장 기본적인 방법
4.2 그 외 다양한 방법
4.2.1 다른 모듈의 소스 코드 참조하기
4.2.2 디버그 모드와 릴리스 모드에 맞게 참조하기
4.2.3 안드로이드 유닛 테스트 참조하기
4.2.4 공개 라이브러리 참조하기 - JAR 파일
4.2.5 공개 라이브러리 참조하기 - AAR 파일
4.2.6 로컬에 있는 AAR 파일 참조하기
4.2.7 .so(JNI) 파일 참조하기
4.3 Omni Notes 사례
chapter 5 멀티 프로젝트 활용
5.1 Android 뷰와 Project 뷰
5.2 안드로이드 라이브러리 모듈 만들기
5.3 로컬 저장소 만들기
5.3.1 로컬 저장소는 언제 필요한가
5.3.2 로컬 저장소 만드는 방법
chapter 6 테스트
6.1 로컬 유닛 테스트
6.2 안드로이드 테스트
6.3 Espresso 연동하기
6.4 로컬 유닛 테스트의 제약사항
chapter 7 빌드 변형
7.1 빌드 타입
7.2 앱 서명 첨부하기
7.3 제품 특성
7.3.1 제품 특성 생성하기
7.3.2 제품 특성 확인하기
7.3.3 제품 특성 제대로 활용하기
7.3.4 제품 특성으로 특정 기능 활성화하기
chapter 8 고급 활용
8.1 확장 플러그인
8.1.1 CheckStyle 플러그인
8.1.2 Retrolambda 플러그인
8.1.3 람다 표현식 사용해보기
8.2 리소스 줄이기
8.3 기타 유용한 팁
8.3.1 APK 생성 시 버전명 자동 기입하기
8.3.2 생성된 APK를 특정 폴더로 복사하기
부록 A Git 콘솔에서 Gradle 활용하기
A.1 최신 소스 코드 받아 바로 빌드하기
A.2 클린하고 다시 빌드하기
A.3 빌드하여 타깃에 바로 APK 설치하기
A.4 라이브러리 의존성 확인하기